티스토리 뷰
목차
안심전세 앱 2.0은 임차인이 전세 계약을 체결할 때 대상 주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위험성 진단을 한 번에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앱입니다. 기존의 안심전세 앱 1.0 보다 정보제공 대상이 확대되었고 임대인 정보를 직접 조회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안심전세 앱 2.0 다운로드하기
안심전세 앱 2.0 사용하기
안심전세 앱 2.0 제공 주요 기능
메인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주요 7가지 메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주택시세조회·위험성 진단
- 집주인 조회
- 전세계약 셀프테스트
- 전세보증 가입 신청
- 임대보증 가입 신청
- 부동산중개업 조회
- 1:1 법률상담
안심전세 앱 2.0 로그인 본인인증
안심전세 앱 2.0은 시세조회와 법률상담을 위한 간편 인증과 회원가입이 필요한 본인 인증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심전세 앱 2.0 주택시세조회·위험성 진단
안심전세 앱 2.0은 집합건물에 해당하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의 시세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단독주택이나, 다가구주택은 시세 제공 대상이 아닙니다.
우선 시세를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 주택의 동과 층, 호수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왼쪽과 같은 조회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건물의 시세는 물론이고 법에 위반되는 건축물인지 무허가건축물은 아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권리침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부동산등기부를 열람해서 확인하여야 합니다.
안심전세 앱 2.0에서는 매매시세뿐만 아니라 전세 실거래가도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주변에 있는 비슷한 주택의 거래 내용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고 전세 계약을 체결한다면 보증금이나 월세를 비싸게 계약하는 일은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대상 주택이 민간임대주택인 경우 민간임대주택 등록정보와 임대보증금보증 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민간임대주택이 아닌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안심전세 앱 2.0을 통해서 대상 주택의 위험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무료로 자가진단하는 방법과 결제를 하고 '안심전세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무료로 자가진단을 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입주일, 보증금, 근저당권 등 대상 주택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내용은 보통 부동산등기부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안심전세 앱 2.0에서 바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로 연결되어 부동산등기부를 열람할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등기부를 보고 확인한 내용을 입력하면 그에 따른 진단결과를 보여줍니다. 보증금을 얼마로 계약하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지 알려주고 전세보증가입이 가능한지도 알려줍니다.
결제진단을 선택하면 결제자 정보를 입력하고 등기변동 알림 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것은 '알림 받지 않음'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다시 '알림 받음'으로 변경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등기사항 결제 후 진단' 선택하고 결제를 완료하면 부동산등기부 발급까지 5분 정도 걸립니다. 부동산등기부가 발급되었다는 알림을 확인하고 마이페이지에 들어가면 '안심전세 진단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제진단의 경우에는 부동산등기부에 기록되어 있는 선순위 담보권리인 근저당권 등의 권리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포함하여 진단을 합니다. 그리고 계약 당시 특약으로 제외하기로 했던 권리가 부동산등기부에 남아 있다면 제외하고 진단할 수도 있습니다.
안심전세 앱 2.0 집주인 조회
안심전세 앱 2.0 보증금지 조회
임차인은 안심전세 앱 2.0을 통해서 임대인이 전세보증금 보증 금지 대상인지 가입 가능한지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임대인은 임대인 인증번호를 발급받아서 전세계약할 때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심전세 앱 2.0 변경 내용
대한민국에만 있는 전세제도라고 합니다. 추후 정부에서 전세제도를 어떻게 손볼지 알 수 없지만 안심전세 앱 2.0을 잘 사용해서 전세계약을 체결할 때 손해 보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겠습니다.